100년 동안의 기도 

‘미래 도서관’의 작가가 되어달라는 제의를 받은 직후, 나는 백년 뒤의 세계를 상상했다. 내가 죽어 사라진 지 오래고, 아무리 수명을 길게 잡는다 해도 내 아이 역시 더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내가 사랑하는 그 누구도, 지금 이 순간 지구상에서 함께 살아 숨쉬는 그 어떤 인간도 더이상 살아 있지 않은 세계를. 그것은 무섭도록 쓸쓸한 상상이었다. 하지만 그 막막함을 가로질러 나는 계속 상상했다. 이 순간도 시간은 어김없이 흐르고 있으니, 필연적인 현실로서 당도하고 말 백년 뒤의 세계를. 백년 동안 자라나 울창해졌을 오슬로 근교 숲의 나무들을. 봄의 가지들과 잎들을, 거기 내리비칠 정오의 햇빛을. 어김없이 찾아올 저녁들과 차갑고 고요한 밤들을.


그때 알았다. 이 프로젝트가 어떤 힘을 가지고 있는지를. 이 프로젝트를 위해 글을 쓰려면 시간을 사유해야 한다는 것을. 무엇보다 먼저 나의 삶과 죽음을 생각해야 하고, 필멸하는 인간의 짧디짧은 수명에 대해 생각해야 하고, 내가 지금까지 누구를 위해 글을 써왔는가를 돌아보아야 한다는 것을. ‘언어’라는 나의 불충분하고 때로 불가능한 도구가, 결국은 그것을 읽을 누군가를 향해 열려 있는 통로라는 사실을 새삼스럽게 자각해야 한다는 것을.


그리하여 마침내 첫 문장을 쓰는 순간, 나는 백년 뒤의 세계를 믿어야 한다. 거기 아직 내가 쓴 것을 읽을 인간들이 살아남아 있을 것이라는 불확실한 가능성을. 인간의 역사는 아직 사라져버린 환영이 되지 않았고 이 지구는 아직 거대한 무덤이나 폐허가 되지 않았으리라는, 근거가 불충분한 희망을 믿어야만 한다. 이 프로젝트를 꾸려가는 사람들, 그리고 현재와 미래의 작가들이 앞으로의 백년 동안 죽어가고 새로 태어나며 마치 불씨를 나르듯 이 일을 계속해낼 것이라는 흔들리는 전제를 믿어야 한다. 종이책의 운명이 백년 뒤의 세계까지 살아남아 다다를 것이라는 위태로운 가능성까지도.


모든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빛을 향해 한 발을 내디뎌야만 하는 순간을 기도(prayer)라고 부를 수 있다면, 아마 이 프로젝트는 백년 동안의 긴 기도에 가까운 어떤 것이라고 나는 이 순간 느끼고 있다. 



Immediately after receiving the invitation to become a writer for the 'Future Library', I imagined the world one hundred years from now. The world a long time after I myself have died, when my child, however long they manage to hold on to life, will likely no longer exist, and neither will any of the ones I love, any of the human beings who are living and breathing together with me on the earth in this moment. It was a frighteningly lonely image to conjure. But, cutting across that desolateness, I kept on imagining. Imagining the world one hundred years from now which, since even in this moment time is flowing without fail, will arrive as an inevitable reality. The trees of the forests around Oslo, that will grow thick and dense in those hundred years. The leaves and branches of spring, the afternoon sunlight that will shine down on them. The evenings and cold, still nights that will come without fail.


It was then that I knew the kind of power this project has. That, in order to write something for this project, I would have to think deeply about time. Before anything else I would have to think about my own life and death, about the fleeting span allotted to mortal humans, and reflect on who it is I have so far written for. 'Language', my insufficient and at times impossible instrument – ultimately, I would have to become newly conscious of the fact that it is a passageway lying open for those who will read what I write.


And the moment I eventually write the first sentence, I have to believe in the world one hundred years from now. In the uncertain possibility that there will still be human beings who have survived, and who will read what I write. I have to hope that human history will not yet have vanished as a phantom, that this planet will not have become a huge ruin or grave of humans. It is a hope whose foundation is shaky, like the assumption that the people who run this project, and the writers of the present and future, who will die and be born in the course of the next hundred years, will continue this work as though carrying embers forward. Yet I have to believe, even in the tenuous possibility that a paper book's fate will be to survive long enough to reach the world one hundred years from now.


If it is possible to call prayer the moment when, in spite of all the uncertainty, we have to take just one step towards the light, in this moment I feel that perhaps this project is something close to a century-long prayer.



Copyright © Han Kan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