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Novel
Short Story
Poetry

 



검은 사슴
장편 소설

1994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한 이후 줄곧 화제작을 발표하며 문단의 각별한 주목을 받아왔던 한강이, 소설집 『여수의 사랑』을 발표한 직후부터 집필을 시작해 삼 년 만에 완성한 『검은 사슴』은 서사적 견고함과 염결한 작가정신이 어우러진 탁월한 작품으로, “의심할 바 없이 90년대 문학이 거둔 가장 뛰어난 성과물 가운데 하나로 기록될 작품”(문학평론가 남진우)이다.

“한 젊은 마이스터의 탄생을 예감케 하는 데 부족함이 없을 것”(문학평론가 서영채)이라는 찬사와 함께 출간된 『검은 사슴』의 가장 큰 미덕은 우선 ‘이야기의 승리’에서 찾아진다. 90년대 문학이 가족사와 개인의 내면, 성과 신세대 문화의 한가운데로 질주해 들어가는 동안, 90년대 문학은 소설의 아이덴티티인 이야기를 상실하고 말았다. 문학의 위기, 특히 소설의 위기는 다름아닌 이야기의 위기였다.

이야기가 이야기로 살아 움직이기 위해서는 그 내용은 물론 구성과 표현 방식의 견고함과 새로움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한다. 작가 한강은 『검은 사슴』에서 이야기가 요구하는 필요충분 조건들을 넉넉하게 충족시키고 있다. 즉 비약이나 단절이 없는 서사구성, 치밀하고 빈틈없는 디테일, 신선한 충격을 자아내는 에피소드들, 이야기와 주제를 은밀하게 연결시키는 은유와 상징들, 생생하게 살아 있는 개성적인 인물들, 한 시대와 정면으로 맞서는 주제 등이 서로 조응하고 공명하면서 아름다우면서도 아프고, 통렬하면서도 서정적이며, 비장하면서도 힘이 있는 이야기를 탄생시킨 것이다.




빛과 어둠 사이, 존재의 심연으로 자맥질해 들어가는 서늘한 영혼의 표류기

작가 한강은 『검은 사슴』에서 말과 침묵, 빛과 어둠, 기억과 현실 사이로 나 있는 좁은 협곡을 따라 존재의 깊고 어두운 심연으로 내려간다. 이 소설의 주요 모티브는 소설의 제목이기도 한 ‘검은 사슴’ 설화와 ‘연골’이라는 마을 이야기이다. 검은 사슴 설화는 중국 고대 설화를 작가가 변형한 것으로, 검은 사슴은 땅 속 깊은 곳, 어두운 바위틈에서 사는 환상의 동물이다. 뿔로 불을 밝히고 강력한 이빨로 바위를 먹고 사는데, 검은 사슴의 꿈은 지상으로 올라가 햇빛을 보는 것. 그러나 뿔과 이빨을 담보로 하여 햇빛을 보는 순간 검은 사슴은 녹아버리고 만다.

연골은 겨울에 날린 연들이 가서 떨어지는 깊은 산 속 마을. 그 마을의 봄은, 지난겨울에 날아온 낡고 해진 연들을 모아 불태우는 것으로 시작된다. 검은 사슴과 연골은 이 소설의 주제와 은밀하게 연결되는 신화이자 상징이고 또 은유이다.

검은 사슴과 ‘연골’, 분열증적 삶에 시달리는 우리 시대의 상징

이 소설은 한낮 도심의 횡단보도에서 느닷없이 훌훌 옷을 벗어던지고 알몸으로 달음박질을 하는 한 여자(임의선)를 찾아가는 미로 찾기의 여정이다. 종이연들이 가서 죽는 곳, 강원도 오지인 연골에서 광부의 딸로 태어난 의선에게는 주민등록번호도 없고 은행계좌도 없다. 여기에 기억상실증까지 걸려 있다. 사회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 여자. 백지, 백치 같은 여자, 식물 같은 여자다. 제약회사 사환으로 일하던 의선이 어느 날 갑자기 집을 나가자, 의선을 알고 있던 두 인물이 의선의 행적을 찾기 위해 강원도 탄광도시로 떠난다.

잡지사 기자인 김인영은 같은 건물에 있는 제약회사 사환이 어느 날 횡단보도에서 갑자기 옷을 벗어던지고 대학로를 달리는 광경을 목격하고, 기억을 잃은 상태에서 찾아온 그녀와 함께 산다. 김인영의 대학 후배인 명윤은 글을 쓰다가 중단하고 조울증에 시달리고 있다가, 의선과 만난다. 이후 의선은 명윤과 동거한다. 이때 의선으로부터 ‘황곡’이라는 탄광도시에서 학교를 다녔다는 희미한 기억을 듣는다.

햇빛 속에 알몸으로 앉아 있기를 좋아하는 의선은 가끔 집을 나가 돌아오지 않는다. 그러나 세번째 가출은 길고 심각했다. 의선을 사랑하는 명윤이 선배 인영에게 의선을 찾으러 가자고 제의한다. 글과 사진을 겸하고 있는 잡지사 기자 인영은, 황곡시에서 탄광 사진을 전문으로 찍는 괴짜 사진가 장종욱을 취재하러 출장을 떠나면서, 시간을 쪼개 의선을 찾아보기로 한다.

자기 기억의 뿌리를 찾아 떠난 의선, 의선을 찾기 위해 탄광 지대를 찾아가는 인영과 명윤, 그리고 인영이 인터뷰한 사진가 장종욱, 이들은 모두 저마다 깊은 심연을 갖고 있다. 망각의 어두운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의선이나, 저마다 유년기와 가족사의 깊은 상처를 갖고 살아가는 인영, 명윤, 장종욱은 모두 검은 사슴인지 모른다.

끊임없이 정체성(개인)을 요구하는 현대. 그러나 개인이 겨우 정체성을 확립하고 현대 사회로 진입하는 순간 그 개인은 여지없이 무너진다. 현대적 삶, 그것은 분열증, 조울증으로서의 삶으로부터 쉽게 벗어날 수 없다. ‘서서히 미쳐가는 삶, 그러나 견뎌내지 않을 수 없는 삶’―이것이 이 소설이 말하려고 하는 현대인의 실존적 자화상인지도 모른다.

그 검은 사슴들이 찾아가고자 하는 존재의 심연, 즉 연골도 같은 의미이다. 자신이 날려보낸 종이연(꿈)을 새삼 확인하고 그것들을 모아 태우는 행위는 삶의 어떤 국면에서 요구되는 ‘죽음’의 의식이다. 삶은 수시로 연날리기와 같은 기대(염원)를 갖게 하지만, 또 그만큼 그 기대의 죽음(갈무리)을 요구한다. 그 죽음을 딛고 새 봄이 오고, 또 새로운 연날리기가 가능해진다. 죽음과 탄생의 공간으로서의 연골은 검은 사슴의 상징과 함께 이 소설의 핵심적인 상징이 아닐 수 없다.

*

소멸과 허무 그리고 슬픔으로 충만한 한강의 소설은 한사코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고개를 돌려 지나온 시간의 갈피에 묻어두고 온 흔적들과 대면하기를 요구한다. 그녀의 첫 장편소설이자, 의심할 바 없이 90년대 문학이 거둔 가장 뛰어난 성과물 가운데 하나로 기록될 『검은 사슴』은 개인적 상처와 시대적 상처가 만나는 과거의 한 지점으로 자맥질해들어가는 영혼의 표류기이다. 망각과 기억의 좁은 협곡 사이로 난 길을 따라 깊고 어두운 심연으로 내려가는 작가의 모험에서 우리는 역으로 동터오는 다음 세기 우리 문학의 밝은 내일을 확신하게 된다. _남진우(문학평론가)

소설에서 리얼리즘이라는 말이 찬사로 사용된다면, 그것은 무엇보다도 서사의 견고함을 지칭하는 것일 터이다. 치밀하고 빈틈없는 디테일, 비약이나 단절이 없는 서사 구성, 서로 공명하고 조응하는 삽화들, 이런 미덕들을 바탕으로 하여, 한 시대의 정신을 향해 정면으로 육박하는 소설을 일컬어, 우리는 리얼리즘이라는 예찬의 언사를 헌정하곤 한다. 작가 한강은 아직 출발점에 서 있는 젊은 작가이고 『검은 사슴』은 그의 첫 장편소설이다. 그런데도 그의 소설이, 바야흐로 개화하기 시작하는 이런 미덕의 가능성을 두루 보여주고 있다면, 이는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더욱이 허술하고 느슨한 서사가 양산되고 있는 것이 현금의 세태이고 보면, 한강의 『검은 사슴』이 서사적 견고함과 장인적 치밀함으로 현시해주는 이러한 가능성은, 한 젊은 마이스터의 탄생을 예감케 하기에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_서영채(문학평론가)

*

말과 침묵, 어둠과 빛, 꿈과 생시, 죽음과 삶, 기억과 현실 사이에 공간이 있다. 그 공간은 사이에만 있을 뿐 아니라, 그것들을 안팎으로 둘러싸며 가득차 있다. 내 말들이 그 공간을 진실하게 통과해 나올 수 있기를 간절히 빌었다. 캄캄한 흙 속을 비집고 내려간 흰 뿌리처럼, 어둠과 빛의 한 몸뚱이를 잎사귀까지 길어올릴 수 있기를 빌었다. _‘작가의 말’에서

*

그에게는 다시 시작할 힘이 없었다. 아니, 다시 시작한다는 것이 불가능했다. 그가 찍었던 것은 이제 사라져버린 것들이었다. 없는 것을 어떻게 카메라에 담을 것인가.(97쪽)

……마치 식물 같았어요. 이렇게 어두운 방에서도 그애는 늘 저 창문을 향해 앉아 있었어요. 어두운 방에 놓인 화분 속의 풀이, 아무리 가냘픈 빛이라도 있으면 그쪽으로 구부러지는 것처럼 말예요.(266쪽)

어떤 환부에는 약도 시간도 듣지 않는다는 것을, 오로지 익숙해지는 것으로만 잊을 수 있는 통증이 있다는 것을 나는 알게 되었다. 나에게 맞는 직장에 들어가 일을 하고 사진을 찍으면서, 오히려 나를 지켜주는 것이 그동안 나를 결박해온 어둠이라는 것을 알았다.(330쪽)
Copyright © Han Kang all rights reserved